암호화폐

Sui 기반 AI 노드 프로젝트 Swarm Network 분석

CryptoNaut 2025. 5. 6. 08:03
반응형

Swarm Network

 Swarm Network는 Sui 블록체인 위에서 동작하는 AI 에이전트 기반 탈중앙 플랫폼입니다. 쉽게 말해, 여러 인공지능(AI) 에이전트와 사람이 협력하여 온라인 정보의 진실 여부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투자 관점에서 보면, 혁신적인 아이디어활발한 커뮤니티, 검증된 보안성 등을 갖추고 있지만 초기 단계의 위험성도 존재합니다. 아래에서는 Swarm Network의 개요부터 현재 진행 상황, 투자 매력, 팀 정보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024.10.12 - [암호화폐] - SUI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SUI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Sui 네트워크 소개Sui는 Mysten Labs에서 개발한 독립적인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Sui는 Move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설계되었으며, 기존의 블록체인과 달리 병렬 트랜잭션 처리를 통해

wloghub.com

 

1. Swarm Network란 무엇인가?

Swarm Network는 다수의 AI 에이전트가 협력하여 “온체인(온블록체인) 진실 검증”을 수행하는 탈중앙 프로토콜입니다. 여기서 ‘온체인 진실 검증’이란, 인터넷상의 정보(예: 트위터 글)가 사실인지 AI와 사람이 함께 확인하고 그 결과를 블록체인에 투명하게 기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Swarm Network는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다중 에이전트 협업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코딩 지식 없이도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 플랫폼을 목표로 합니다.

  • 기술적 개요: Swarm Network의 핵심은 AI 에이전트(Agent)들이 클러스터(Cluster)와 스웜(Swarm)을 이루어 협업하는 구조입니다. 개인은 코딩 없이도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고, 여러 에이전트를 한데 모아 클러스터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여러 클러스터가 모인 스웜(Swarm) 단위로 확장하여 대규모 분산 협업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간단한 프롬프트(지시문)만으로 100개의 AI 에이전트가 협력하는 클러스터를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각 스웜은 자신만의 토큰을 발행하여 거버넌스 투표나 보상 분배에 활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직접 가치와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목표와 역할: Swarm Network의 슬로건은 “탈중앙화된 진실(Decentralized Truth)”입니다. 인터넷상의 방대한 정보 속에서 거짓 정보나 확인되지 않은 주장을 가려내어, 신뢰할 수 있는 사실만을 온체인에 검증·보존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이러한 진실 검증 데이터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신뢰의 레이어”를 형성합니다. 특히 Sui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서 Swarm Network는 첫 번째 AI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Sui 네트워크의 빠른 처리 성능과 저렴한 수수료를 기반으로 대량의 검증 데이터를 온체인에 기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Sui 블록체인은 Move 언어 기반의 1세대 레이어1으로, 대규모 사용자 참여에 적합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데, Swarm Network는 그러한 성능을 활용하여 실시간 검증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 작동 방식: Swarm Network의 검증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① 누군가 주장이나 정보를 제출하면,
    • ② Swarm Network의 에이전트 레이어가 그 정보를 작은 단위의 “클레임(claim)”으로 분해하고 AI를 통해 관련 증거를 수집합니다.
    • ③ 동시에 영지식 증명(ZK-Proof) 같은 암호기술을 생성하여,
    • ④ 여러 검증자(사람 노드)들이 해당 증거와 정보를 독립적으로 검증하도록 합니다.
    • ⑤ 다수 검증자가 합의하면 블록체인에 해당 결과를 기록하고,
    • ⑥ 누구나 그 검증된 결과를 열람하거나 다른 응용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중간에 제3자의 조작 없이 투명하게 기록되므로 신뢰성을 담보합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효율화하기 위해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 기술과 상태 머신, 합의 엔진 등도 활용되어,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도 검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Swarm Network의 주요 구성 요소

  • 에이전트(Agent):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 자율 AI 개체입니다. Swarm Network의 Agent Builder라는 도구를 통해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자연어 프롬프트로 동작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 뉴스 기사의 사실 여부를 확인해줘”라고 지시하는 팩트체크 AI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클러스터(Cluster): 공동 목표를 위해 협력하는 에이전트들의 그룹입니다. 하나의 클러스터에는 여러 AI 에이전트가 병렬로 작업을 분담하여 보다 복잡한 업무를 처리합니다. 사용자는 한 번의 명령으로 최대 100개의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어, 소규모 팀처럼 AI들을 조직화할 수 있습니다.
  • 스웜(Swarm): 탈중앙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클러스터들을 뜻합니다. 스웜은 더 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클러스터가 협업하는 최상위 계층입니다. 각 스웜은 자체 토큰(스웜 자산)을 발행하여 스웜 내 활동에 대한 가치를 디지털 자산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토큰은 거버넌스 투표권, 스테이킹 보상, 네트워크 참여 권한 등으로 활용되어 스웜에 경제적 인센티브를 부여합니다. 쉽게 말해, 스웜은 특정 주제나 목적을 가진 AI 협업 네트워크이고, 참여자들은 토큰을 통해 그 스웜의 성장에 기여하고 보상받습니다.

📰 사례: Rollup News – 소셜 미디어 팩트체크 dApp

Swarm Network의 대표 dApp인 Rollup News 예시 화면. 소셜미디어에 게시된 기사에 대해 AI 에이전트들이 사실 여부를 검증한 뒤, “사실 확인 완료(Safe To Read)”와 같이 결과를 표시한다. 화면에는 해당 게시물의 사실로 입증된 주장 83%, 입증되지 않은 주장 16% 등 검증 통계와, 내용 신뢰도에 대한 요약 평가가 표시된다.

 

Swarm Network의 플래그십(주력) 애플리케이션으로 Rollup News가 있습니다. Rollup News는 트위터로 알려진 X 플랫폼에 연동된 실시간 팩트체크 도구인데, 사용자가 트위터에서 어떤 글에 “rollup”이라는 댓글로 호출하면 작동합니다. 그러면 Swarm Network의 “Truth Swarm”(진실 스웜)이라 불리는 에이전트 네트워크가 해당 글의 내용을 즉각 분석합니다. AI 에이전트들이 글의 주장 하나하나를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찾아내면, 인간 검증자(노드 운영자)들이 그 정확성을 최종 확인합니다.

 

그리고 몇 초 내에 트위터 상에 팩트체크 결과를 답글 형태로 제공하죠. 이 결과에는 출처 신뢰도, 사실 여부 점수, 추가 맥락 등이 포함됩니다. 중요한 것은, 검증된 사실이 Sui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Swarm Network는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25년 4월에는 구글의 공식 팩트체크 제공 업체로 등록되었는데, 이는 Swarm의 진실 검증 데이터가 구글을 통해서도 활용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 위 이미지의 사례처럼 “러시아의 암 치료 백신 개발”이라는 트윗이 있으면, Rollup News가 관련 자료를 찾고 검증하여 “이 글은 신뢰할 수 있음(Safe to Read)”이라는 결과를 온체인에 남기는 식입니다. 이제 이 결과는 구글에서도 팩트체크 정보로 활용될 수 있어, Swarm Network가 웹상의 신뢰 인프라로서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Swarm Network는 소셜 미디어 검증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warm Prediction Markets라는 예측 시장 플랫폼을 통해, 사람들이 트위터나 텔레그램에서 실시간으로 검증된 정보를 바탕으로 미래 사건에 베팅하고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상금이 지급되는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Agent BUIDL이라는 노코드 AI 개발 환경을 통해 개발자나 기업이 자신만의 AI 에이전트 군집을 구축하고 토큰화할 수 있게 지원할 예정입니다. 요약하면, Swarm Network는 Sui 블록체인의 성능을 활용하여 사람과 AI의 집단지성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선별하고, 그 검증된 데이터 위에 다양한 앱들이 돌아가는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프로젝트입니다.

2. 투자 매력도 및 위험 요인 (신뢰성/투명성/보안성/커뮤니티)

Swarm Network는 투자할 만한 프로젝트일까요? 여러 측면에서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 ✅ 신뢰성과 투명성: 프로젝트 팀은 실명 공개 및 경력 검증이 되어 있으며, 백서 격인 Gitbook 문서에서 기술과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대표 Yannick Myson은 이전에 Delysium이라는 유명 메타버스 게임 프로젝트에서 마케팅 디렉터를 역임한 경력이 있고, 2024년에 Swarm을 창업하여 업계에서 어느 정도 신뢰를 얻은 인물입니다. 또한 프로젝트는 2024년 ZeroStageY2Z Ventures 등으로부터 씨드 투자 300만 달러를 유치하며 출발했는데, 이 투자사들은 이전에도 Mask Network, Near, Polygon 같은 유명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지원한 바 있어 안목 있는 투자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개발 진행 상황과 로드맵도 수시로 공개되고, 트위터(X)에서 파트너십, 업데이트 내용을 활발히 공유하고 있어 비교적 투명한 편입니다. 특히 Swarm Network는 Sui 재단 및 Mysten Labs가 주관하는 SuiHub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선정될 정도로 기술력과 아이디어를 인정받았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Sui 재단으로부터 자금과 멘토십을 제공받았으므로, 생태계 내 공신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보안성: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은 매우 중요합니다. Swarm Network는 에이전트 라이선스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 QuillAudits보안 감사를 거쳤으며, 감사 보고서에서 중대한 취약점이 없음을 확인받았습니다. QuillAudits는 업계의 전문 보안 감사 기관 중 하나로, Swarm의 핵심 컨트랙트 코드에 대한 검토를 수행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계약 코드의 신뢰성을 어느 정도 담보해주는 요소입니다. 또한 Swarm Network는 Move 언어(Sui의 스마트컨트랙트 언어)의 안전성을 활용하고, 영지식 증명(ZK)으로 민감한 데이터는 노출하지 않으면서 검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술적 보안 설계도 견고한 편입니다. 다만, 향후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온체인 상호작용이 늘어날수록 새로운 취약점이 생길 가능성은 있으므로 지속적인 감사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 ✅ 커뮤니티와 인지도: Swarm Network는 출범 초기부터 마케팅과 커뮤니티 구축에 힘쓴 덕분에 큰 규모의 유저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공식 X(트위터) 팔로워 수는 30만 명 이상이고, 텔레그램 커뮤니티 가입자도 120만 명에 달한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숫자는 상당히 이례적으로 큰 편인데, 그만큼 전 세계적인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냈음을 의미합니다. 커뮤니티 상에서는 노드 운영자(라이선스 보유자)들 간의 정보 공유, 이벤트 참여 등이 활발하며, 밈(meme)을 활용한 홍보나 콘텐츠도 볼 수 있어 비교적 열성적인 분위기입니다. 예컨대, Swarm 노드 운영을 독려하는 유튜브 영상들에서 “2025년 최고의 수익 노드”라는 소개를 자주 볼 수 있을 만큼, 크립토 투자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트렌드처럼 언급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2024~2025년에 걸쳐 UniLend Finance(디파이 프로토콜)나 Zypher Network(ZK 기술 스타트업) 등 여러 프로젝트와의 파트너십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른 블록체인 분야와의 시너지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 규모가 크다는 것은 시장 관심도가 높고 향후 토큰이나 서비스 출시 시 잠재 이용자 풀이 넓다는 강점이 됩니다.
  • ⚠️ 고려해야 할 위험 요소: 물론 투자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첫째, Swarm Network는 아직 초기 단계의 프로젝트입니다. 핵심 서비스인 Rollup News는 출시되어 일일 1,500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했지만, 정작 토큰(TGE)은 2025년 2분기에 예정되어 있을 정도로 토큰 이코노미가 이제 막 시작되는 단계입니다. 즉 현재 시점에서 토큰의 유동성이 낮고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실제로 SWM 토큰(가칭)의 시범 유통 데이터에 따르면 시가총액 규모가 몇십만 달러 수준으로 매우 작고 거래량도 하루 수십 달러 정도로 미미했습니다. 이는 곧 초기 투자자가 유동성 부족에 따른 위험을 감수해야 함을 뜻합니다. 둘째, 노드 라이선스 판매 모델에 대한 우려입니다. Swarm Network는 최대 30,000개까지 발행되는 Agent License 판매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1차 물량 12,000개를 개당 999 USDC에 판매 시작했습니다. 이후 판매량에 따라 가격이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마지막에는 하나당 $5,000 상당까지 올라가는 구간별 판매 전략을 취합니다. 이런 노드 분양 모델은 과거 몇몇 프로젝트(예: StrongBlock 등)에서 Ponzi(폰지) 논란이 있었던 방식이기도 합니다. 즉 신규 라이선스 구매자들의 자금으로 기존 홀더들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구조가 될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습니다. Swarm Network의 경우 전체 토큰 공급량의 30%를 라이선스 홀더 보상에 할당하고 매일 새로운 토큰을 발행하여 보상으로 주기 때문에, 토큰 가치 희석(inflation)이 일어날 수 있으며 실제 서비스 수요에 비해 보상 체계가 과도하면 지속 가능성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 다행히 Swarm 측은 Rollup News 등 실사용 서비스의 수익 일부를 노드 보상 풀로 환원하고, 라이선스를 임대하여 수익을 얻거나 여러 보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검증 서비스에 대한 시장 수요가 충분히 커져서 자연스럽게 보상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향후 보상 축소나 가치 하락의 리스크가 있습니다.
    또 다른 위험으로는 경쟁 심화를 들 수 있습니다. 2023년 이후로 AI와 블록체인 융합 프로젝트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미 시가총액 기준 수십 억 달러 규모의 AI 코인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Swarm Network와 유사하게 AI 에이전트자율적 데이터 검증을 내세운 프로젝트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어(예: Fetch.ai, SingularityNET, Olas, The Graph 등), 경쟁 우위를 유지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Swarm Network는 Sui 블록체인 생태계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Sui가 이끄는 사용자 유입이 경쟁 L1(예: 이더리움, 솔라나 등) 대비 얼마나 성장할지 불확실합니다. 향후 Swarm이 멀티체인 지원(Omni-chain)을 계획하고 있긴 하지만, Sui 생태계의 성공이 Swarm의 성공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

종합적으로, Swarm Network는 독특한 컨셉과 실사용 사례, 강력한 커뮤니티 백업, 보안 및 투명성 노력 등 긍정적 요소가 많아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특히 AI + 블록체인 + 콘텐츠 검증이라는 테마는 시대적 이슈(가짜뉴스 문제, AI 윤리 등)를 해결하려는 시도이기에 사회적 가치도 갖습니다. 다만 아직은 초기 투자 단계로서, 리워드 모델의 지속 가능성토큰 경제 안착, 경쟁 속에서의 생존 등이 입증될 때까지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 전에 프로젝트의 문서와 공시 정보를 꼼꼼히 읽고, 커뮤니티 의견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현재 개발 및 운영 현황

Swarm Network는 2024년 출범 이후 꾸준히 개발 로드맵을 이행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운영도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노드 운영 현황, 생태계 파트너십, 주요 이벤트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 노드(에이전트 라이선스) 운영 현황

앞서 언급했듯 Swarm Network의 노드는 곧 Agent License를 보유한 검증자 노드 운영자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AI 에이전트를 구동하고 온체인 검증 작업에 참여하여 일일 보상을 받습니다. 라이선스는 엄밀히 말하면 NFT 형태의 디지털 운영 권한 키이며, 이것이 있어야만 Swarm Network의 검증 에이전트 계층에 접속해 일할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 말 라이선스 1차 판매가 시작된 이후, 현재(2025년 중반 추정)까지 수천 개 이상의 라이선스가 판매되었습니다. 정확한 실시간 판매량은 공개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2024년 초 첫 공개 판매에서 약 600만 달러 상당의 라이선스 판매 수익을 올렸다고 알려져, 이를 미루어볼 때 대략 절반 수준인 6,000개 안팎의 라이선스가 초기 판매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30,000개 중 20%에 해당하는 물량입니다.

 

라이선스 판매 전략은 5단계의 계단식 가격 정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단계에서는 12,000개의 라이선스를 개당 $999 USDC에 판매했고, 2단계(12,001번째부터)는 100개가 팔릴 때마다 가격이 $10씩 올라가 $1,099부터 최대 $1,539까지 상승합니다. 이후 단계별로 가격 인상폭이 커져, 마지막 5단계(25,500번째 이후)에는 100개 당 $40 상승하여 최대 $5,589에 달합니다. 이러한 조기 참여자 보상 구조 덕분에, 일찍 라이선스를 확보한 투자자들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진입하여 향후 2차 거래시장에서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Swarm 측은 향후 라이선스 NFT의 자유 거래를 지원하는 마켓플레이스도 구축할 예정이며, 초기 구매자(OG)들에게는 재판매 시 로열티 수익 등의 혜택도 줄 계획입니다.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한 라이선스 노드 운영자들은 전 세계에 분포해 있습니다. 이들은 매일 Rollup News 등의 팩트체크 작업에 투입되어 트윗 검증 등의 일을 수행하고, 그 공로에 따라 SWM 토큰으로 보상을 받고 있습니다. Swarm Network는 매일 정해진 양의 토큰Agent Operation Pool이라는 풀에 할당하고, 기여도에 따라 노드들에게 분배합니다. 초반에는 보상 수익률(APY)이 매우 높게 설정되어 홍보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참여 노드가 늘고 토큰 발행량이 조정되면서 수익률은 점진적으로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노드 운영자들은 단순히 보상만 받는 것이 아니라, 향후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는 DAO 회원이기도 합니다. 라이선스 보유자는 Swarm Network의 탈중앙 자율조직(DAO)의 일원으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펀드 사용처 결정 등 투표권을 행사하게 될 예정입니다. 또한 올해 예정된 스테이킹 도입을 통해 라이선스 운영자들이 자신의 보상을 다시 네트워크에 예치하여 네트워크 안전성과 품질을 담보하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요약하면, 수천 개의 Swarm 노드(라이선스)가 이미 가동 중이며 매일 온체인 정보 검증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드들은 탈중앙화된 검열자이자 네트워크 주주로서, Swarm Network를 실제로 굴리고 유지하는 핵심 동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파트너십 및 주요 이벤트

Swarm Network는 독자적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과 협력하며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목할 만한 파트너십과 이벤트입니다.

  • UniLend Finance 제휴: 2024년 하반기, 디파이(DeFi) 프로토콜인 UniLend와의 파트너십이 발표되었습니다. UniLend는 이더리움 기반의 탈중앙 금융 플랫폼으로, Swarm Network와 함께 AI 기술을 Web3 금융에 접목하는 공동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향후 대출 플랫폼의 리스크 관리에 Swarm의 검증된 데이터가 사용되거나, Swarm의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새로운 금융 상품이 나올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두 팀은 공동으로 트위터 스페이스 AMA 등을 열어 커뮤니티와 소통하고 있으며, 서로의 생태계에 상대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크로스 커뮤니티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Zypher Network 제휴: 2025년 4월에는 Zypher Network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발표되었습니다. Zypher는 영지식(ZK) 기술을 활용한 AI 프로젝트로, Swarm과의 협력을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형 AI 에이전트를 개발한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Zypher의 ZK 기반 AI 에이전트들이 Swarm Network의 인프라 위에서 구동되고, Swarm의 검증 에이전트들은 Zypher 플랫폼에서도 활용되어 양쪽 네트워크가 연결될 예정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AI 네트워크 간에 호환성을 높이고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강화하는 협업으로 평가됩니다. 두 프로젝트는 기술 협업과 더불어 공동 마케팅, 캠페인도 전개하여 커뮤니티 규모를 넓히고 있습니다.
  • 그 외 파트너 및 지원: Swarm Network는 Sui 재단 외에도 여러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예컨대 크립토 인큐베이터인 GreatOne이 Swarm을 지원했고, 블록체인 보안 기업 Certik과도 자문 협력을 한 바 있습니다 (Certik 웹3 해커톤에서 Swarm이 사례로 소개). 또 다른 유망 AI 프로젝트인 Recall, Olas, Delysium 등과 교류하며 분산형 AI 에이전트 분야의 연합 분위기도 조성하고 있습니다. Swarm Network의 소셜미디어 영향력도 커서, 2024년 말~2025년 초에는 트위터 상에서 #TruthDAO, #GetSwarmed 등의 해시태그로 커뮤니티 캠페인을 벌이며 사용자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Truth Seeker Season #1이라 불린 캠페인에서는 사용자들이 직접 인터넷의 의심스러운 게시물을 찾아내 Swarm에 제보하고, 검증 작업에 참여하여 포인트를 얻는 게이미피케이션 이벤트가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커뮤니티 활성화와 동시에 Swarm의 데이터셋 축적에 기여한 의미있는 이벤트였습니다.
  • 주요 개발 이벤트: 개발 측면에서 중요한 이정표로는 2024년 12월의 테스트넷 출시2025년 1월 메인넷 론칭을 들 수 있습니다. 2024년 말 Swarm Network는 Sui 테스트넷 환경에서 Rollup News를 시범 운영하며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을 가동했습니다. 수백 명의 커뮤니티 검증자가 참여하여 컨트랙트 오류와 AI 결과 품질을 점검했고, 이를 바탕으로 2025년 1월 메인넷을 정식 가동하였습니다. 그 직후 2025년 1월 23일에 씨드 투자 유치 성공 발표(글로브뉴스와이어 공식 보도자료)가 나오며, 초기 투자 라운드를 마무리했습니다. 2025년 3월에는 스위스 체인링크 해커톤에 Swarm 팀이 초청되어 탈중앙 사실 검증에 대한 발표를 함으로써 기술적 입지를 다졌습니다 (Chainlink의 오라클과의 협업 가능성도 암시). 그리고 2025년 4월에 앞서 언급한 구글 팩트체크 파트너로의 참여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구글의 사실확인 프로그램에 Swarm Network가 공식 공급자로 추가된 것은 메인스트림 기술 업계의 인정을 받았다는 의미에서 대단히 고무적입니다. 이는 Swarm이 블록체인 업계뿐 아니라 전통 인터넷 분야와도 접점을 넓혀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요약하면, Swarm Network는 계획된 로드맵에 맞춰 기술 개발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파트너십과 이벤트를 통해 입지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현재 수천 개의 노드와 수많은 일일 사용자들을 가진 실사용 단계에 접어들었고, 활발한 생태계 협업으로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는 중입니다. 이러한 진행 상황은 투자자들에게 프로젝트의 실행력과 성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 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4. 향후 발전 가능성과 시장 전망

Swarm Network가 향후 어떻게 발전할지, 그리고 시장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지에 대해 로드맵시장 수요, 경쟁 구도를 중심으로 전망해보겠습니다.

🗺️ 기술 로드맵과 향후 계획

Swarm Network는 2025년까지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 계획을 시간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1분기: 가장 큰 이벤트는 Agent License Launch, 즉 에이전트 라이선스 정식 출시였습니다. 이미 진행된 노드 판매를 공식화하고, 이를 통해 얻은 피드백으로 네트워크를 안정화하는 기간이었습니다. 또한 Rollup News v2 (Aristotle 라는 코드명)가 선보여져, 사실검증 기능과 UI/UX가 개선되었습니다. Agent Staking 설계도 이 분기에 완료되어, 라이선스 보유자가 곧 도입될 스테이킹을 준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Questing Platform이라는 게임형 검증 플랫폼의 기초가 마련되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특정 주제의 검증 퀘스트에 참여하면 추가 보상을 얻는 시스템으로, 커뮤니티 참여를 게임화한 것입니다.
  • 2025년 2분기: 토큰 생성 이벤트(TGE)가 드디어 진행됩니다. Swarm Network의 거버넌스 및 유틸리티 토큰인 SWM(가칭)이 퍼블릭 마켓에 공식 출시되고, 초기에 에어드랍(OMEGA Airdrop)을 통해 초창기 기여자와 퀘스트 우수 참여자들에게 토큰을 배분할 계획입니다. 이는 곧 SWM 토큰의 상장 및 거래 개시를 의미하며, CoinList 등 런치패드 플랫폼을 통해 진행될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토큰 스테이킹 기능이 도입되어, 일반 토큰 보유자들도 토큰을 예치하고 거버넌스 투표권이나 수수료 지분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한편 Swarm Markets v2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는데, 예측 시장 플랫폼에 고도화된 AI 분석 기능유저 주도형 마이크로 마켓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스포츠, 정치, 크립토 시세 등 다양한 영역에서 더 정교한 예측 시장을 열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 2025년 3분기: Swarm Incubations Round 1이 시작됩니다. 이는 Swarm Network 위에서 돌아가는 새로운 dApp, 미디어 도구, 특화된 스웜 프로젝트들을 인큐베이팅하는 프로그램입니다. Swarm이 검증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스타트업이나 개발팀에게 Seed 펀딩과 멘토십을 제공하여 생태계를 확장하려는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많은 이들이 기대하는 Agent BUIDL v1 플랫폼이 출시됩니다. Agent BUIDL은 노코드 환경에서 AI 에이전트를 훈련·배포할 수 있는 툴로서, 라이선스 보유자들은 이를 이용해 자신만의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특정 분야(예: 의료 논문 검증, 디파이 데이터 검증 등)에 특화된 커스텀 에이전트 클러스터를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Swarm Network를 AI 서비스 개발 플랫폼으로 격상시켜줄 중요한 기능입니다. 또한 Swarm ZK Test-Net이 공개되어, Swarm Network의 영지식 증명 레이어(ZK-Graph Layer)를 시범 운용할 예정입니다. 이 테스트넷에서는 ZK 기술을 활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검증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실험이 진행됩니다.
  • 2025년 4분기: 연말에는 Swarm Network의 멀티체인 전략이 본격화됩니다. Omni-Chain Upgrade를 통해 Swarm이 크로스체인 데이터 검증 허브로 발전할 준비를 합니다. 이는 Swarm에서 검증한 정보가 이더리움, 솔라나 등 다른 블록체인에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한 예로, Swarm이 검증한 트위터 정보가 폴리곤 체인의 dApp에서 바로 조회되거나,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가 Swarm의 진실 데이터 피드를 구독하는 식의 통합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이와 병행하여 Swarm Community Fund(커뮤니티 펀드)가 출범해, DAO가 주도하는 개발자 보조금 지급, 제안서 투표 등이 이뤄집니다. 즉 완전한 커뮤니티 거버넌스 시대로 접어드는 것입니다. 또한 Swarm Incubations 추가 라운드가 열려 더 많은 프로젝트를 생태계로 끌어들이고, 연내에 Agent License MarketplaceAgent Service Marketplace를 출시합니다. Agent License Marketplace는 사용자들이 라이선스 NFT를 사고팔 수 있는 공식 장터로, 실시간 시세 표시와 신원 검증된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Agent Service Marketplace는 라이선스 보유자가 자신이 가진 AI 검증 서비스를 기업이나 dApp에 직접 제공하고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노드 운영자가 “NFT 진품 여부 검증”에 특화된 에이전트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NFT 마켓플레이스와 연동해 서비스형 상품으로 팔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마켓플레이스는 Swarm Network를 탈중앙화 AI 에이전트 경제로 발전시키는 핵심 퍼즐입니다.

이후 2026년부터는 Swarm Network가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어 대규모 DAO 거버넌스글로벌 확장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팀이 제시한 비전 중 하나는 “인터넷의 실시간 진실 레이어”로 거듭나는 것인데, 2025년 로드맵을 차질 없이 실행한다면 상당 부분 현실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시장 수요 및 경쟁 프로젝트 비교

시장 전망 측면에서, Swarm Network가 자리하고 있는 AI 블록체인 분야는 현재 크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입니다. 2023년 ChatGPT 열풍 이후, AI와 크립토를 결합한 프로젝트들이 우후죽순 생겨났고 전체 AI 코인 시가총액이 1년 만에 10배 이상 증가하여 260억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이 분야의 성장은 두 가지 흐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AI 인프라형 프로젝트(예: 그래프 연산, AI 모델 공유 등)이고, 다른 하나는 AI 응용 서비스형 프로젝트입니다. Swarm Network는 후자 중에서도 “정보 신뢰”라는 독특한 니즈를 겨냥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가짜뉴스, 허위정보의 문제는 심각하며, 중앙집중식 팩트체크 기관에 대한 불신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중앙화된 다중지성으로 진실을 검증하겠다는 Swarm의 가치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소셜미디어 검증은 그 출발점일 뿐이고, 향후에는 탈중앙 블로그 검열, 데이터 저널리즘, 정부 공개자료 검증 등 활용 분야를 넓힐 수 있습니다. 또한 Swarm이 쌓는 신뢰 데이터베이스는 다른 AI들이 학습에 활용할 수도 있고, Web3의 오라클처럼 Web2 서비스에서도 불러다 쓸 수 있습니다. 예컨대, 디파이 프로토콜이 Swarm의 데이터를 참조해 투표의 진위를 판별하거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상품 리뷰의 신뢰도를 Swarm 검증으로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시장 수요는 이러한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에 의해 장기적으로 뒷받침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경쟁도 함께 증가할 것입니다. 직접적인 경쟁 상대로는 유사한 탈중앙화 검증 네트워크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call이라는 프로젝트는 Swarm과 유사하게 검증 가능한 AI 에이전트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으며, Olas는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자율 에이전트 기반의 데이터 검증을 연구 중입니다. 또한 Delysium (Swarm 창업자가 몸담았던 프로젝트이기도 함)은 게임 분야 AI 에이전트에 집중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업하는 “AI MetaVerse”를 꿈꾸고 있어 철학적으로 Swarm과 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더 유명한 경쟁자로는 SingularityNET (AGIX)이나 Fetch.ai (FET) 등이 꼽힙니다. SingularityNET은 AI 서비스들을 모아서 거래하는 마켓플레이스이고 Fetch.ai는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서비스 마켓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Swarm과 겹칩니다. 다만 둘 다 사실 검증보다는 일반 AI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직접적 경쟁보다는 상이한 포지셔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전통 오라클(Oracle) 프로젝트인 Chainlink도 2024년 이후 탈중앙 사회 데이터 쪽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어, 장기적으로 Swarm의 검증 데이터를 Chainlink 피드로 제공하거나 역으로 Chainlink가 유사 서비스를 내놓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술 경쟁 측면에서는 Swarm이 영지식 증명 + AI라는 어려운 접목을 시도하는 만큼, 다른 프로젝트 대비 기술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이는 곧 선발주자로서 기술 우위를 확보할 기회이지만, 반대로 개발 난이도로 인해 일정 지연 또는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위험도 있습니다.

 

시장 전망을 요약하자면, Swarm Network가 속한 AI 에이전트 + 블록체인 + 콘텐츠 검증 분야는 매우 혁신적이지만 개척해야 할 영역입니다. 수요 측면에서 가짜정보 문제와 AI 활용 증가라는 추세 바람을 타고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급 측면(경쟁)에서 아직 뚜렷한 압도적 경쟁자는 없으나 다양한 간접 경쟁이 존재하므로, Swarm이 네트워크 효과를 얼마나 빨리 확보하느냐가 승부처입니다. 다행히 현재 Swarm Network는 첫Mover 이점을 살려 빠르게 생태계를 확장 중이고, Sui라는 신흥 체인의 주력 프로젝트로 후광 효과도 얻고 있습니다. 만약 로드맵 대로 2025년에 멀티체인 지원과 DAO 완성이 이루어진다면, Swarm Network는 AI x 블록체인 분야의 주요 플랫폼 중 하나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기술적 난관이나 커뮤니티 이탈 등의 변수가 생긴다면 성장 곡선이 꺾일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AI를 접목한 Web3 프로젝트에 우호적이며, Swarm처럼 실제 사용자가 존재하고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몇 년간 Swarm Network의 발전을 지켜보면서, 실사용 사례 확보와 토큰 경제의 안착 여부가 시장 성공의 키 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프로젝트 팀 및 주요 인물

Swarm Network의 프로젝트 팀블록체인 업계에서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팀원들은 평균 4~6년의 경력을 갖고 다양한 Web3 벤처를 성장시킨 이력이 있으며, 수백만 달러 규모의 매출을 달성한 프로젝트를 운영해 본 경험도 있다고 합니다. 각 핵심 멤버들은 AI 엔지니어링, 제품 인큐베이션, 투자, 마케팅, 운영 등 전문 분야를 나눠 맡고 있어 Swarm Network의 탈중앙 AI 진실 프로토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서로 보완적인 역량을 발휘합니다.

  • Yannick Myson (CEO 겸 Founder): Swarm Network의 설립자이자 대표입니다. Yannick은 마케팅 전문가 출신으로, 앞서 언급한 Delysium(메타버스 게임 프로젝트)에서 마케팅 디렉터로 근무하며 크립토 업계에 이름을 알렸습니다. Delysium에서 그는 AI 메타버스 홍보 전략을 주도했고, 글로벌 커뮤니티 구축을 성공적으로 이끈 바 있습니다. 2024년 초 Swarm Network를 창업한 이후에는 기술 개념을 다듬고 투자 유치를 직접 이끌었으며, Sui 재단의 신뢰를 얻어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도 참여했습니다. 다양한 인터뷰에서 Yannick은 “인터넷의 진실성 문제를 커뮤니티와 AI의 힘으로 해결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는데, 이러한 사명감이 프로젝트 전반에 투영되어 있습니다. 국적은 벨기에로 알려져 있으나, 팀 운영을 위해 미국과 아시아를 오가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LinkedIn 프로필상 베트남 Hanoi의 스타트업도 경영).
  • CTO (공개 이름 미상): 팀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정식으로 이름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커뮤니티 AMA에서 “전직 MIT 연구원 출신의 블록체인 개발자”로 언급되었습니다. 해당 인물은 Move 언어 전문가로서 Sui 블록체인의 특성을 살린 스마트컨트랙트 아키텍처를 설계했다고 합니다. 또한 MIT 산하 단체인 집단지능 센터(MIT Center for Collective Intelligence)와의 인연이 있어 최신 AI 협업 연구를 프로젝트에 접목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Swarm Network의 Advisors(고문) 소개에서도 드러나는데, MIT 집단지능 센터 관계자가 자문으로 참여하여 Swarm의 AI+인간 협업 모델을 이끌어주고 있다고 합니다.
  • その他 주요 팀원: 이외에도 블록체인 인프라 엔지니어, 프로덕트 매니저, 커뮤니티 매니저 등 핵심 멤버들이 다수 있습니다. 일부는 이전에 솔라나나 카르다노 같은 다른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경험을 쌓았고, 일부는 대형 IT 기업에서 AI 모델 개발을 하던 인재들입니다. 팀 전체적으로 글로벌 분산 팀 형태를 띠고 있어, 미국, 유럽, 아시아에 거점을 두고 24시간 개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커뮤니티 매니지먼트 팀은 지역별(영미권, 중국, 한국, 베트남 등)로 담당자가 있어, 다국어 소통과 현지 밈 문화를 적극 도입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대규모 텔레그램 커뮤니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주효했습니다.
  • 고문 및 투자자: Swarm Network의 어드바이저 패널에는 업계 저명인사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상장지원 및 펀딩 전문가, 가족 사모펀드 대표, 그리고 앞서 언급한 MIT 집단지능 연구원 등이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Swarm에 글로벌 파트너 연결, 기술 로드맵 조언, 시장 전략 등을 제공하며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아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 CoinList 임원을 지낸 사람이 토큰 출시 자문을 맡아 준 덕분에 Swarm의 토큰 공개 전략이 정교하게 수립되었다는 후문입니다. 투자자 측면에서는 ZeroStage, Y2Z Ventures 외에도 여러 프라이빗 투자자들이 참여했는데, 이 중에는 가상자산 업계 유명 천사투자자(Angels)와 크립토 펀드 매니저들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들은 단순 자본 공급 외에 프로젝트 홍보와 인재 채용, 보안 감사 연결 등 다양한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Swarm Network 팀은 젊고 혁신적인 인재들과 경험 많은 전문가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AI 분야 박사급 인력과 크립토 분야 숙련가의 콜라보레이션이 인상적입니다. 팀이 공개한 소개글에서도 “각 핵심 멤버가 AI 엔지니어링, 투자, 마케팅 등 특화 지식을 제공하며, 이들의 집단 역량이 Swarm의 비전을 현실화한다”는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성패는 결국 팀의 실행력에 달려있는 만큼, 지금까지의 개발 추진 속도와 성과를 보면 팀이 상당히 역동적이고 유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앞으로도 여러 도전을 맞이하겠지만, 견고한 팀 구성과 업계 인맥을 갖춘 Swarm Network는 이를 헤쳐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맺음말

Swarm NetworkSui 블록체인 위에서 탄생한 혁신적인 AI 노드 프로젝트로서,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인터넷의 진실을 가려내겠다는 큰 포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론 AI와 블록체인의 결합, 경제적으론 커뮤니티 보상과 참여를 강조하며, 이는 가상자산 투자자와 일반 사용자 모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초보 투자자의 시각에서 본 Swarm Network는, 한편으로는 도전적인 신생 프로젝트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사용 사례를 이미 선보인 유망주입니다. 투자 매력위험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하여,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자면:

  • 무엇을 하는 프로젝트인가?AI 에이전트들이 거짓 정보를 잡아내고 진실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탈중앙 플랫폼
  • 투자 가치가 있는가?팀 경력, 보안 감사, 커뮤니티 규모 등 신뢰 요소가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리스크 관리 필요
  • 현재 어디까지 왔나?수천 개 노드가 가동 중이고, 트위터 팩트체크 등 실서비스 운영; Sui 엑셀러레이터 선정, 구글 팩트체크 파트너 등 호재 있음
  • 앞으로 가능성은?로드맵 상 토큰 출시, 멀티체인 확장, 마켓플레이스 구축 등 *호재 이벤트 다수; 가짜뉴스 문제 부각으로 *시장 수요 견고
  • 누가 이끌고 있나?전 Delysium 임원 *Yannick을 비롯해 블록체인/AI 베테랑들로 팀 구성; MIT 연구자 등 *저명 고문진 참여

초보 투자자라면 우선 Swarm Network의 공식 문서와 커뮤니티 채널을 확인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웹사이트와 Gitbook, 그리고 트위터 공지들을 읽어보면 이 글에서 다 담지 못한 흥미로운 세부 정보와 최신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빠르게 변하는 가상자산 세계에서 정보의 힘은 곧 투자자의 힘입니다. Swarm Network가 제시하는 “탈중앙 진실”이라는 비전에 공감한다면, 작은 금액이라도 경험 삼아 노드를 운영해보거나 커뮤니티 활동에 참여해보는 것도 좋은 시작일 것입니다. 반대로 아직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관찰자 입장에서 이 프로젝트의 성과를 지켜보며 학습하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결론: Swarm Network는 AI 시대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품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Sui 생태계의 대표주자로서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되며, 그 성공 여부에 따라 시장에 큰 파급을 줄 수도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글을 바탕으로 독자 여러분이 Swarm Network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현명한 투자 판단에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자료: 공식 웹사이트, Gitbook 문서, RootData 프로젝트 정보, GlobeNewswire 보도자료 등.

 

2024.10.24 - [암호화폐] - SUI 는 제2의 솔라나가 될 수 있을까?

 

SUI 는 제2의 솔라나가 될 수 있을까?

Sui 네트워크가 제 2의 Solana가 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주로 Sui의 기술적 우수성과 향후 성장 가능성에 기반합니다. Sui는 뛰어난 성능과 독창적인 기술적 설계를 갖추고 있으며, 특히 트랜잭션

wloghub.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