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RCT AI: 게임 AI와 메타버스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 소개

CryptoNaut 2025. 5. 10. 10:21
반응형

회사 개요 및 설립 배경

rct AI는 2018년에 설립된 미국 로스앤젤레스 기반 AI 스타트업으로, 게임 산업과 메타버스 분야를 위한 인공지능 솔루션을 개발한다. 이 회사의 창업진은 이전에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인 라벤테크(Raventech)를 공동 창업하여 2017년 중국의 바이두(Baidu)에 매각한 경험을 지니고 있다. rct AI는 최신 딥러닝과 강화학습 기술을 활용하여 “진정한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게임 개발자들이 가상 세계를 지능형 AI NPC(Non-Player Character)로 채워 몰입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으로 약 40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창업자 및 주요 인물

rct AI는 제시 류(Jesse Lyu)라는 창업자가 주도해 시작되었다. 그는 이전 라벤테크(Raventech)의 공동창업자로, 해당 회사를 바이두에 매각한 바 있다. 이후 Xiankun Wu(우션쿤)와 Yuheng Chen(첸유헝)이 합류해 공동 창업자로 활동했으며, Yan Zhang(장얀)도 초기 멤버로 합류하여 CTO로 참여하였다. 현재 CEO는 Yuheng Chen으로 알려져 있으며, 공동 창업자 중 Xiankun Wu는 사장 겸 이사회 멤버로, Yan Zhang은 기술책임자(CTO)로 참여하고 있다.

핵심 기술 및 제품

rct AI는 인공지능 기반 NPC(Non-Player Character) 생성 및 대화 기술을 핵심으로 개발한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Deterrence라는 AI 계층이 있는데, 이는 ‘지능형 NFT’를 구현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AI 플랫폼으로, AI 대화 모델과 의도 인식, 모션 생성을 결합해 캐릭터를 인지적으로 학습된 가상 존재로 만든다. 또한 Morpheus 엔진Chaos Box 알고리즘을 통해 NPC의 대사와 스토리라인을 자동 생성하여, 기존 고정된 대화가 아닌 복합적이고 유기적인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rct AI는 세계 최초의 AAA급 P2E(Play-to-Earn) 게임과 지능형 NFT를 개발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 송팅(Ting Song)과 협력하여 만든 ‘뉴와(Nüwa)’ NFT는 딥러닝 기반의 지능형 특성을 가진 캐릭터로, 옥션에서 최고가에 낙찰되는 등 화제가 되었다. 또한 rct AI는 스마트 컨트랙트로 작동하는 인텔리전트 NFT 칩을 도입해, 다양한 창작자들이 ‘Mirror NFT’ 등 고품질 AI 캐릭터를 쉽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밖에도, AI NPC가 플레이어의 행동 변화를 인식해 반응하도록 하는 AI-to-Earn(수익형 AI)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게임 내 블록체인 자산의 유동성과 플레이어 수익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기술 스택 및 플랫폼

rct AI의 기술 스택은 **딥러닝(심층 신경망)**과 강화학습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릭터 애니메이션 생성과 NPC 행동 예측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모션을 예측·생성한다. 예를 들어, “Motion Prediction Generation System”은 딥러닝과 신경망을 이용해 클라우드 상에서 실시간 애니메이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Chaos Box 알고리즘은 개별 캐릭터의 동기(motivation)와 행동 논리를 AI로 계산하여, 다양한 스토리 전개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rct AI는 웹3(Web3) 블록체인 플랫폼과 결합된 환경에서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사례인 Deterrence는 여러 퍼블릭 블록체인과 연동되어 AI 캐릭터를 NFT 형태로 발행·관리하며, 게임 간의 AI 자산 인터체인(exchange)도 지원한다. 요약하면, rct AI는 클라우드와 블록체인을 모두 활용한 AI 플랫폼 위에, 딥러닝·강화학습 기반의 다양한 모듈(대화 모델, 의도 인식, 모션 예측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연구 개발 분야 및 논문/출판 이력

주로 게임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며, 특히 강화학습과 딥러닝 기반 AI 에이전트를 개발해왔다. 예를 들어 인기 블록체인 게임 Axie Infinity를 대상으로 한 강화학습 모델(ACAR 알고리즘)을 개발·발표했는데, 실제 대전 시뮬레이션에서 인간 플레이어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모델 개발 성과는 IEEE CoG 2022(게임 AI 학회)에서도 발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정식 학술지 논문보다는 회사 블로그 및 언론 보도 형태로 공개된 사례가 대부분이며, IEEE CoG 같은 국제 학술대회에서 AI 알고리즘을 발표하면서 기술력을 알리고 있다. rct AI는 이밖에 웹3 게임과 AI 융합, 메타버스 가상 에이전트 연구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미래의 웹3는 AI가 핵심”이라는 비전 아래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산업 내 위치 및 경쟁력 분석

rct AI는 AI NPC/메타버스 분야의 신생 기업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게임AI 시장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주요 경쟁사로는 캐릭터 대화형 AI 스타트업인 Inworld AI, Replica Studios 등이 있으며, 게임용 AI 개발을 진행 중인 Promethean AI 등도 유사 분야에 속한다. 또한 NVIDIA나 유니티(Unity) 같은 대형 기술기업들도 AI 기반 게임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다. 다만 rct AI는 블록체인과 결합된 Play-to-Earn 게임Fi 시장에 특화된 점이 특징이다. 즉, AI 캐릭터를 NFT 자산과 연계해 자동 수익창출(AI-to-earn)까지 지원하는 ‘메타버스 경제’ 모델을 제시하며 차별화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비전 덕분에 테크크런치(TechCrunch)에서 “추천 스타트업(TechCrunch Favorite Startup)”으로 선정되는 등 업계의 이목을 끌었으며, 국내외 투자자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주요 파트너십 및 협업 사례

rct AI는 20여 개 이상의 게임 개발사와 협업하여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자체 프로젝트로는 지능형 NFT 프로젝트 “Mirror NFT” 시리즈가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게임파이 프로젝트 “Mirror World”**를 운영 중이다. 크리에이티브 분야 협업으로는 디지털 아티스트 **송팅(Ting Song)**과 함께 세계 최초의 인텔리전트 NFT인 **‘뉴와(Nüwa)’**를 공동 제작했는데, 이 작품은 중국 옥션에서 최고가로 낙찰되면서 화제가 되었다. 또한 중국의 메타버스 프로젝트 업체인 **NEXT GENERATION Culture(NGC)**와도 손잡고 **가상 사회 프로젝트 “Soularis”**를 론칭했다. 그 외에도 자체 개발 중인 대규모 웹3 MMORPG **“Delysium”**과 주요 게임사의 공동 프로젝트 등 다양한 협업을 진행 중이다.

투자 및 재무 현황

설립 이후 rct AI는 누적 약 2천억 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2019년 초·중기에 Y Combinator 등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받았으며, 2020년까지 Makers Fund와 Sky Saga Capital 등으로부터 약 120억 원($12M) 이상의 초기 자금을 유치했다. 이후 2021년 11월에는 시리즈A3 라운드를 통해 원앤모어파트너스(元宇宙资本)와 스프링윈드벤처스(Springwind Ventures) 주도로 100억 원($10M) 규모의 투자를 완료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Galaxy Interactive, Bonfire Union, FBG Capital, HashKey Capital 등 게임·블록체인 분야 글로벌 투자사들이 참여했다. 2022년 3월에는 자체 개발 중인 AAA급 웹3 게임 ‘Delysium’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Galaxy Interactive 등 리드로 40억 원($4M) 규모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현재까지 rct AI는 총 3개 투자 라운드를 통해 약 22M 달러 이상의 자본을 확보했으며, 이후 상환전환우선주(RCPS) 형태의 자금 조달을 진행했다(2024년 기준 신규 투자 정보는 비공개).

실제 적용 사례 및 고객사

rct AI의 기술은 이미 다양한 게임사와 플랫폼에 적용되었다. 전 세계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rct AI 기반 기술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rct AI가 개발한 Mirror NFT 컬렉션 보유자들은 해당 토큰을 이용해 수백만 건의 거래를 진행했으며, 자체 게임 개발 프로젝트인 Mirror World와 Soularis로 실사용 단계에서 테스트 중이다. 또 앞서 언급한 송팅의 NFT ‘뉴와’는 경매시장에서 고액에 낙찰되는 등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이 밖에 Delysium 프로젝트도 글로벌 커뮤니티와 파일럿 게임 등을 통해 검증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복수의 해외 게임사들이 rct AI의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향후 비전 및 로드맵

rct AI는 “Web3와 AI로 새로운 메타버스를 구축”하겠다는 장기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미래 게임은 보다 **개방형(Open World)**이고 **몰입형(Immersive)**이며 **지능형(Intelligent)**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위해 게임 개발자들이 손쉽게 동적 AI 세계를 구현하도록 지원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로드맵 상으로는 이미 개발 중인 AAA급 P2E 게임(예: Delysium)과 파생 게임들의 알파/베타 버전을 순차적으로 출시하면서, AI NPC를 통한 자동 수익 창출(게임파이) 기능을 실증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Deterrence AI 플랫폼을 점차 개방형(API 형태 등)으로 전환하여 다양한 블록체인 게임이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많은 캐릭터와 이야기 생성 기술을 개발해 콘텐츠 생태계를 확장할 예정이다. rct AI는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통해 게임과 메타버스 산업 전반에 새로운 혁신 경험을 제공하고, 글로벌 게임 AI 시장에서 리더로서의 입지를 굳힌다는 전략이다.

 

출처: rct AI 공식 웹사이트 및 블로그, Business Wire 보도자료, Y Combinator 소개자료, FinSMEs 등 투자 보도, SyncedReview 인터뷰 기사 등 공개 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