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Fi 대출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자산을 증식시키면서도 리스크를 헤징하기 위한 전략은 안정성과 성장성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여러 요소를 고려한 전략을 제시하겠습니다.
1. 담보 설정 및 담보 비율 관리
전략:
- 과담보화 설정(Over-collateralization):
- 담보 비율을 프로토콜의 청산비율(Liquidation Threshold, LT)보다 충분히 높게 유지합니다.
- 예: LT가 130%라면 최소 200% 이상의 담보 비율을 유지하여 청산 위험 감소.
이점:
- 가격 변동성에도 청산 위험이 줄어듦.
- 추가 담보 투입의 필요성을 낮춤.
2. 대출금 활용
전략:
- 스테이블코인 대출:
- 암호화폐(예: ETH, SOL)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예: USDT, DAI)을 대출받아 자산 활용.
-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없으므로 리스크를 헤징 가능.
- 대출금으로 저평가 자산 투자:
- 대출받은 금액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저평가된 자산에 투자.
- 예: SOL을 담보로 대출받아 블루칩 NFT, 다른 암호화폐, 또는 탈중앙화 스테이킹 프로토콜에 재투자.
이점:
- 담보 자산(암호화폐)은 그대로 유지.
- 대출금을 활용한 추가 투자로 자산 증식 기회 창출.
3. 수익성 극대화를 위한 전략
전략:
- 담보 자산 이자 수익 극대화:
- 예치된 담보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활용. 일부 프로토콜(Aave, Compound)은 담보 자산에도 이자를 지급합니다.
- 예: SOL을 예치하고 대출 이자를 초과하는 이자 수익 발생.
- 레버리지 반복(Lending Loop):
- 담보 → 대출 → 대출금으로 추가 담보 → 반복.
- 이 전략은 높은 담보비율을 유지하면서 자산을 증식할 수 있음.
이점:
- 담보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대출금을 통해 자산을 기하급수적으로 증식 가능.
- 단, 이 전략은 시장 변동성이 낮을 때 유효.
4. 리스크 관리 및 헤징
전략:
- 스테이블코인 비중 유지:
-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비중을 늘려 암호화폐 가격 변동성을 상쇄.
- 예: 대출로 받은 스테이블코인의 일부를 예치하여 이자 수익을 통해 이자 비용 상쇄.
- 옵션 및 파생상품 활용:
- Deribit이나 GMX 같은 파생상품 플랫폼에서 옵션(예: PUT 옵션) 또는 선물(예: SHORT 포지션)을 활용해 담보 자산의 가격 하락에 대비.
- 다양화된 담보 자산 구성:
- 담보로 사용하는 자산을 여러 암호화폐로 분산하여 특정 자산의 가격 하락 위험을 줄임.
- 예: ETH와 BTC를 함께 담보로 사용.
이점:
- 암호화폐 가격 하락 시에도 손실 완화.
- 담보 가치 변동성 감소.
5. 청산 방지 및 자동화 도구 활용
전략:
- 가격 경고 및 자동화 도구 사용:
- 가격이 청산 위험 범위에 가까워지면 경고를 받을 수 있도록 알림 시스템 설정.
- 일부 프로토콜(Aave, Instadapp)에서는 자동으로 추가 담보를 투입하거나 대출 상환을 실행하는 기능 제공.
이점:
- 가격 변동성을 빠르게 대응 가능.
- 수동 관리 부담 감소.
6. 프로토콜 선택 및 최적화
전략:
- 이자율이 낮은 프로토콜 사용:
- 낮은 대출 이자를 제공하면서 담보 자산에 이자를 지급하는 프로토콜 선택.
- 예: Aave, Compound 등.
- 거버넌스 토큰 보상 활용:
- 일부 프로토콜은 대출과 예치 활동에 대해 거버넌스 토큰(예: COMP, AAVE)을 추가로 지급.
- 이 보상을 활용해 추가 수익 창출.
이점:
- 대출 비용 최소화.
- 추가적인 보상 수익 확보.
예제: SOL 담보 & USDT 대출 전략
- 담보: SOL $10,000어치 예치.
- 대출: $4,000(40%) 대출받아 안전 마진 확보.
- 대출금 활용:
- $2,000은 USDT 예치하여 이자 수익 창출.
- $2,000은 저평가 자산(예: DOT, AVAX 등) 또는 DeFi 스테이킹에 재투자.
- 헤징:
- USDT 일부로 SOL 가격 하락 시 대응하기 위해 PUT 옵션 구매.
- SOL 가격 급락 시 추가 담보 투입 준비.
- 수익 창출:
- SOL 담보에서 발생하는 이자 + USDT 예치 수익 + 재투자 수익.
- 모든 자산의 잠재적 성장이 포트폴리오 증식에 기여.
결론
- 안정성 확보:
- 스테이블코인 활용, 담보비율 관리, 청산 방지 도구 사용.
- 수익 극대화:
- 담보 및 대출 자산의 이자 활용, 레버리지 반복.
- 리스크 헤징:
- 파생상품, 스테이블코인, 담보 분산.
위 전략을 병행하면, 자산을 증식하면서도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헤징할 수 있습니다.
2024.11.19 - [분류 전체보기] - DeFI 렌딩(lending)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봅시다.
반응형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밈코인과 그렇지 못한 밈코인, 이 둘의 차이점은? (1) | 2024.11.20 |
---|---|
디파이 수익성 비교: 리스테이킹 vs 랜딩 프로토콜 (3) | 2024.11.20 |
DeFI 렌딩(lending)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봅시다. (1) | 2024.11.19 |
JTO 토큰과 Jito 네트워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11.19 |
Solana와 비견할 만한 성장 잠재력을 가진 알트코인들과 세부 분석 (0) | 2024.11.18 |